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11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페이지 교체 기법은 새로이 적재될 페이지를 위한 주기억장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재 주기억장치를 차지하고 있는 페이지들 중에서 어떤 페이지를 선택하여 가상공간으로 보낼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법이다. 1. FIFO(First-In Fisrt-Out) 알고리즘 : 각 페이지가 주기억장치로 들어올 때마다 타임스탬프를 찍어 그 시간을 기억하고 있다가 페이지가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가장 먼저 주기억장치에 들어와 있는 페이지를 교체시키는 방법이다. 2. 최적 교체(Optimal Replacement) 알고리즘3.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4. 2차 기회(second chance) 알고리즘5. LFU(Least Frequently Used) 알고리즘 2020. 2. 15.
메이저 스테이트에 사용되는 코드의 이해 - C0t0 : C는 메이저 스테이트를 나타내고 C0는 Fetch 단계임을 나타낸다. t는 타이밍 신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1개의 타이밍 신호에 1개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동작한다. 즉 C0t0는 페치 사이클의 첫 번째 타이밍 신호를 의미한다. - PC : 프로그램 카운터, PC에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주소가 들어 있다. - MAR : 메모리 어드레스 레지스터, 저장하거나 읽어올 주기억장치의 주소가 들어 있다. - MBR :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또는 주기억장치에 저장할 자료가 들어 있다. - IR 또는 OPR : 명령 레지스터, 현재 실행하는 명령어가 들어 있다. - M[MAR] : 메모리(주기억장치)에서 MAR 번지에 해당하는 값 - OP : 명령어 중 OP-Code 부분, .. 2020. 2. 13.
120.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 CPU의 속도와 메모리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고속 Buffer Memory이다. - 캐시는 주기억장치와 CPU 사이에 위치한다. - 캐시 메모리는 메모리 계층 구조에서 가장 빠른 소자이며, 처리 속도가 거의 CPU의 속도와 비슷할 정도이다. - 캐시를 사용하면 기억장치를 접근(Access)하는 횟수가 줄어들기 떄문에 컴퓨터의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 최근에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따로 분리하여 각각의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분리 캐시를 운용하기도 한다. 분리 캐시를 사용하면 적중률은 떨어지지만 캐시 접근시 충돌을 방지 할 수 있다. - 명령어나 자료를 찾기 위한 캐시 메모리에 접근하는 경우, 원하는 정보가 캐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을 때 적중(Hit)되었다고 하고,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 2020. 2. 13.
112. ROM(Read Only Memory) - 기억된 내용을 읽을 수만 있는 기억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쓰기는 불가능하다. - 전원이 꺼져도 기억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 실제로 ROM은 주기억장치로 사용하기보다는 주로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자가 진단 프로그램(POST) 같은 변경 가능성이 희박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기억시키는 데 이용한다. -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바이오스 : 컴퓨터에서 전원을 켜면 맨 처음 컴퓨터의 제어를 맡아,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처리해 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롬 바이오스 라고도 한다. - POST(Power On Self Test) : PC에 전원을 넣었을 때 시스템 전반을 검사하는 과정. 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되면 컴퓨터가 바르게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 2020. 2. 13.
106. 인터럽트의 종류 및 발생 원인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중이던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 처리하는 것, 일명 "끼어들기"라고도 한다.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할 때, 인터럽트 플래그(IF)를 0으로 하면 인터럽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 인터럽트는 외부 인터럽트, 내부 인터럽트,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로 분류하는데, 외부나 내부 인터럽트는 CPU의 하드웨어에서의 신호에 의해 발생하고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는 명령어의 수행에 의해 발생한다. 외부 인터럽트 - 전원 이상 인터럽트(Power Fail Interrupt) : 정전이 되거나 전원 이상이 있는 경우 - 기계 착오 인터럽트(Machine Check Interrupt) : .. 2020. 2. 13.
54. 트리(Tree) 정점(Node, 노드)과 선분(Branch, 가지)을 이용하여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Graph의 특수한 형태로 가족의 계보(족보), 연산 수식, 회사 조직 구조도, 히프(Heap) 등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노드 : 트리의 기본 요소로서 자료 항목과 다른 항목에 대한 가지를 합친 것예) A B C D E F G H I J K L M 근 노드(Root Node) : 트리의 맨 위에 있는 노드예) A 디그리(Degree, 차수) : 각 노드에서 뻗어나온 가지의 수예) A=3 B=2 C=1 D=3 트리의 디그리 : 노드들의 디그리 중에서 가장 많은 수예) 노드 A나 D가 3개의 디그리를 가지므로 위 트리의 디그리는 3이다 단말 노드(Terminal Node) = 잎 노드(Leaf Node) : 자식이.. 2020.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