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공공부/운영체제12 디렉터리 구조 1. 1단계 구조 디렉터리 : 디렉터리 구조 중 가장 간단한 것으로, 장치 디렉터리는 일단계 디렉터리의 한 예이다. 이 방법은 유지 및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모든 파일들을 같은 디렉터리 내에 위치시킨다. 2. 2단계 구조 디렉터리 : 일단계 디렉터리에서의 결정적인 단점은 서로 다른 사용자들 간의 파일명의 혼란이었다. 이에 대한 가장 적당한 해결책은 사용자들에게 각자만의 디렉터리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파일 디렉터리(UFD: User File Directory)를 가지고, 각 사용자 디렉터리는 오직 한 사용자 파일만을 기술한다. 한 사용자 업무를 시작하거나 새로운 사용자를 받아들이려고 할 때, 우선 시스템의 마스터 파일 디렉터리(MFD: Master File Directory)를.. 2020. 2. 17. 분산처리 시스템의 투명성 분산처리 시스템 : 네트워크 상에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여러 다른 컴퓨터에서 이용하는 기술로써 중앙집중형과 달리 네트워크 상에 여러 컴퓨팅 플랫폼에 프로세스를 분산시키고, 분산된 프로세스를 논리적으로 마치 하나의 프로세스 처럼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투명성 1. 위치 투명성 : 사용자는 각 컴퓨터들이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몰라도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2. 이주 투명성 : 자원 이동에 제한이 없다. 3. 복제 투명성 : 사용자에게 통지할 필요 없이 시스템 안에 자원들의 부가적인 복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4. 병행(동시) 투명성 : - 다중 사용자들이 자원들을 자동으로 공유 할 수 있다. - 자원의 위치를 모르더라도 사용자들이 자원을 병행하여 처리 및 공유한다. - 다중의 사용자가 자동적으.. 2020. 2. 16. 지역성의 원칙(Principle of Locality) 1. 시간적 지역성 : 한 번 참조 된 기억장소는 가까운 미래에 계속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 예) 순환, 서브루틴, 스택, 계산과 집계에 사용되는 변수 2. 공간적 지역성 - 참조된 기억장소의 근처에 있는 기억장소는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 예) 배열 순회, 순차적 코드 실행, 관련된 변수를 함께 선언 45. 지역성(Loca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세서들은 기억장치 내의 정보를 균일하게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순간에 특정부분을 집중적으로 참조한다. 2. 시간 지역성의 예로 순환, 부프로그램, 스택 등이 있다. 3. 공간 지역성은 하나의 기억장소가 가까운 장래에도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4. 공간 지역성의 대표적인 예로 순차적 코드의 실행이 있다. 정답 : [3].. 2020. 2. 16. 커널 운영체제는 크게 커널(Kernel)과 쉘(Shell)로 구분할 수 있다.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을 담당한다. 사용자로부터 작업이 입력되면 CPU,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들이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데, 바로 이 기능을 커널이 담당한다. 따라서 운영체제의 안정성, 성능, 속도는 커널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실제로 대다수 운영체제의 90% 이상을 커널이 차지하게 된다. - 운영체제의 핵심 - 하드웨어 제어(메모리, cpu 등),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의 모음 - 운영체제의 안정성, 성능, 속도를 결정짓는 요인 43. 운영체제의 커널(Kemel)을 찾아 메모리에 적재하는 과정은? 1. Overlapping 2. Loading 3. Searching 4. Boot.. 2020. 2. 1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