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2

중앙처리장치 - 분류(명령어집합 -RISC, CISC, EISC) 1.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고급 언어 명령어 하나에 각기 하나씩의 기계 명령어를 대응하여 명령어 수가 많고, 가변 길이의 다양한 명령어를 갖는 CPU 구조 특징 1. 많은 수의 명령어 2. 전체적으로 적은 수의 일부 명령어만 주로 쓰임 3. 여러 명령어들이 균일하게 사용 안됨 4. 다양한 주소 지정 방식 5. 가변 길이 명령어 방식 2.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단순하고 고정길이의 명령어 집합을 제공하여 크기를 줄이고 속도를 높인 CPU 구조 특징 1.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명령어(100개 이내) 및 어드레싱 -> 인식 가능 명령어 수를 줄임으로써 속도 향상 2. 메모리와 CPU간 데이터 이동 명령어가 단.. 2020. 2. 16.
JK 플립플롭 JK 플립플롭은 RS 플립플롭에서 입력이 금지되어 있는 R=1, S=1의 조합이 허용되도록 수정한 플립플롭으로서 J=1, K=1인 경우에는 출력 Q의 상태가 반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ttps://blog.naver.com/cni1577/221767767461 2020. 2. 15.
트리 전위, 중위, 후위 순회 https://blog.naver.com/chogahui05/221480393025 전위 순회, 중위 순회, 후위 순회 - 트리를 어떤 순서로 방문할까? 트리에서 순회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는데요. 그 중에 3가지를 배워볼 거에요. 전위 순회, 중위 순회, 후... blog.naver.com 전위(Preorder)순회 : 루트 - 왼쪽 - 오른쪽 중위(Inorder)순회 : 왼쪽 - 루트 - 오른쪽 --> 일반 계산할 때 쓰는 방식 후위(Postorder)순회 : 왼쪽 - 오른쪽 - 루트 2019년03월03일 기출문제 10. 다음 트리를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한 결과는?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1. A B D C E F 2.. 2020. 2. 15.
IPv6 헤더 IPv6 패킷의 첫 부분에 항상 존재하며 40바이트의 고정 크기를 갖는다. • VERSION: IP 프로토콜 버전 번호로서 값은 6이다. • TRAFFIC CLASS: 라우터에서 트래픽 종류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송신 측에서 설정한다. • FLOW LABEL: FLOW는 송신 측의 한 응용프로그램이 생성하는 패킷들로 이들은 모두 동일한 QoS를 요구하기 때문에 라우터는 동일한 FLOW에 속하는 패킷들을 동일한 전송 경로, 자원 할당 정책, 패킷 폐기 조건, 보안 등급으로 처리한다. • PAYLOAD LENGTH: IPv6 헤더를 제외한 나머지 확장 헤더와 DATA 필드를 합한 길이로서 바이트 단위로 표시된다. ​ • NEXT HEADER: 다음에 나타날 확장 헤더의 종류를 나타낸다. 확장 헤더.. 2020. 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