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공공부66

106. 인터럽트의 종류 및 발생 원인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중이던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 처리하는 것, 일명 "끼어들기"라고도 한다.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할 때, 인터럽트 플래그(IF)를 0으로 하면 인터럽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 인터럽트는 외부 인터럽트, 내부 인터럽트,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로 분류하는데, 외부나 내부 인터럽트는 CPU의 하드웨어에서의 신호에 의해 발생하고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는 명령어의 수행에 의해 발생한다. 외부 인터럽트 - 전원 이상 인터럽트(Power Fail Interrupt) : 정전이 되거나 전원 이상이 있는 경우 - 기계 착오 인터럽트(Machine Check Interrupt) : .. 2020. 2. 13.
54. 트리(Tree) 정점(Node, 노드)과 선분(Branch, 가지)을 이용하여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Graph의 특수한 형태로 가족의 계보(족보), 연산 수식, 회사 조직 구조도, 히프(Heap) 등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노드 : 트리의 기본 요소로서 자료 항목과 다른 항목에 대한 가지를 합친 것예) A B C D E F G H I J K L M 근 노드(Root Node) : 트리의 맨 위에 있는 노드예) A 디그리(Degree, 차수) : 각 노드에서 뻗어나온 가지의 수예) A=3 B=2 C=1 D=3 트리의 디그리 : 노드들의 디그리 중에서 가장 많은 수예) 노드 A나 D가 3개의 디그리를 가지므로 위 트리의 디그리는 3이다 단말 노드(Terminal Node) = 잎 노드(Leaf Node) : 자식이.. 2020. 2. 13.
30. 정규화 (Normalization) 31.Anomaly(이상)의 개념 및 종류 32. 정규화 과정 정규화의 개요 - 함수적 종속성 등의 종속성 이론을 이용하여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더 작은 속성의 세트로 쪼개어 바람직한 스키마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 정규형에는 제1정규형, 제2정규형, 제3정규형, BCNF형, 제4정규형, 제5정규형이 있으며, 차수가 높아질 수록 만족시켜야 할 제약 조건이 늘어난다. -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한다. - 정규화는 논리적 처리 및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정규화의 목적 -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최대화한다. - 어떠한 릴레이션이라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표현 가능하게 만든다. -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 중복을 배제하여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 데이터 삽입 시 릴레이션을 재구성할 필요성을 .. 2020. 2. 12.
51. 스택의 삽입(Push)과 삭제(Pop) 삽입(Push) Top = Top + 1 // 스택 포인터(Top)를 1 증가시킨다. If Top > M Then Overflow // 스택 포인터가 스택의 크기보다 크면 Overflow Else X(Top) Item // 그렇지 않으면 Item이 가지고 있는 값을 스택의 Top 위치에 삽입한다. M : 스택의 크기 Top : 스택 포인터 X : 스택의 이름 Overflow : 스택으로 할당받은 메모리 부분의 마지막 주소가 M번지라고 할 때, Top Pointer의 값이 M보다 커지면 스택의 모든 기억장소가 꽉 채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더 이상 자료를 삽입할 수 없어 Overflow를 발생시킨다. 삭제(Pop) If Top = 0 Then // 스택 포인터가 0이면 스택의 바닥이어서 더 이상 삭제할 자료가.. 2020. 2. 12.
반응형